맨위로가기

제3사단 (영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사단 (영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됭케르크 전투에서 철수한 영국 해외원정군의 일부로, 버나드 로 몽고메리의 지휘를 받기도 했다.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소드 해변에 상륙한 첫 번째 영국군 부대였으며, 이후 캉 전투 등 서부 전선에서 활약했다. 2021년 재편성 이후에는 2개의 장갑 여단 전투단, 1개의 심부 정찰 타격 여단 전투단, 1개의 작전 유지 여단을 예하에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제3사단 (영국)
개요
영국 3사단
영국 3사단
명칭제3사단
원어 명칭3rd Division, 3rd Infantry Division, 3rd Mechanised Division
별칭철기군
역사
창설1809년 6월 18일
소속[[파일:Flag of the British Army.svg|28px]] 영국 육군
종류보병
규모사단
본부불포드 캠프
기념일6월 18일
참전
나폴레옹 전쟁반도 전쟁
사부갈 전투
오르테즈 전투
니벨레 전투
후안테스 데 오뇨로 전투
바다조즈 전투
비토리아 전투
부사코 전투
피레네 산맥 전투
콰트레 브라 전투
워털루 전투
크림 전쟁알마 전투
세바스토폴 전투
제1차 세계 대전몬스 전투
솜 전투
앙크레 전투
데빌레 숲 전투
아라스 전투
제2차 세계 대전벨기에 전투
프랑스 공방전
오버로드 작전
노르망디 상륙
찬우드 작전
굿우드 작전
팔레즈 포위전
마켓가든 작전
오버룬 전투
베리터블 작전
플런더 작전
서구 연합군의 독일 침공
브레멘 전투
조직
명령 체계영국군
담당 지역윌트셔 불포드
지휘관
주요 지휘관토마스 픽튼
찰스 앨턴
휴베르트 해밀턴
버나드 로 몽고메리
윌리엄 하버록 램스덴
현재 지휘관패트릭 샌더스

2. 역사

제3사단은 영국 해외원정군의 일부로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됭케르크 전투에서 철수한 사단 중 하나였으며, 버나드 로 몽고메리의 지휘를 받기도 했다. 전쟁 기간 동안 "몬티의 철기대" 또는 "철기대"라는 별명을 얻었다.[5]

1940년 됭케르크 전투 이후, 제3사단은 편제 변경을 겪었다. 1941년 9월, 제7보병여단과 동부 본부가 수비기갑사단으로 바뀌었고, 11월에는 영국 제37여단이 제3사단에 합류하여 제7보병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4][6] 1942년 6월에는 제33기갑여단이 제7보병여단을 대체하며 혼합 사단으로 재조직되었으나,[7] 1943년 초 다시 보병 편제로 돌아갔다. 제33전차여단은 제185보병여단으로 대체되었고, 이 여단은 제79기갑사단의 왕립 제2와위크셔대대 및 왕립 제1노어포크대대, 그리고 왕립 제1슈로스피어경보병으로 구성되었다.[4][8] 이후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에 참여할 예정이었으나, 이 임무는 제1캐나다보병사단에게 넘어갔다.

1944년 5월, 제3영국보병사단은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 대비해 훈련을 시작하여 1945년에는 서구 연합군의 독일 침공에도 참전하는 등 여러 전투를 치렀다.

2021년에 발표된 "퓨처 솔저" 계획에 따라 제3사단은 재편성되었다.[2] 제3사단은 예하에 2개의 장갑 여단 전투단, 1개의 심부 정찰 타격 여단 전투단, 1개의 작전 유지 여단을 두고 있다.[3]

2. 1.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제3사단은 영국 해외원정군의 일부로, 됭케르크 전투에서 철수하였으며, 버나드 로 몽고메리의 지휘를 받았다. "몬티의 철기대" 또는 "철기대"라는 별명을 가졌다.[5]

1940년 됭케르크 전투 이후, 제3사단은 편제 변경을 겪었다. 1941년 9월, 제7보병여단과 동부 본부가 수비기갑사단으로 바뀌었고, 11월에는 영국 제37여단이 제3사단에 합류하여 제7보병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4][6] 1942년 6월에는 제33기갑여단이 제7보병여단을 대체하며 혼합 사단으로 재조직되었으나,[7] 1943년 초 다시 보병 편제로 돌아갔다. 제33전차여단은 제185보병여단으로 대체되었고, 이 여단은 제79기갑사단의 왕립 제2와위크셔대대 및 왕립 제1노어포크대대, 그리고 왕립 제1슈로스피어경보병으로 구성되었다.[4][8] 이후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에 참여할 예정이었으나, 이 임무는 제1캐나다보병사단에게 넘어갔다.

1944년 5월부터 제3영국보병사단은 노르망디 상륙 작전을 대비해 훈련에 돌입했다.

2. 1. 1. 됭케르크 철수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됭케르크 전투에서 영국 해외원정군의 일부로 철수한 사단 중 하나였다. 제3사단은 처절한 패배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큰 손실을 입지 않은 부대 중 하나였다.[5] 1939년 9월 3일부터 됭케르크 전투 때까지 프랑스 및 벨기에에서 전투를 벌였다.[5]

2. 1. 2. 노르망디 상륙 작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됭케르크 전투에서 철수한 부대 중 하나였던 제3사단은, 1944년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버나드 로 몽고메리 장군의 지휘 하에, 제3사단은 "몬티의 철기대" 또는 "철기대"라는 별명을 얻었다.[5]

1944년 6월 6일, 오버로드 작전의 일환으로 노르망디 상륙이 개시되었을 때, 제3영국보병사단은 소드 해변에 상륙한 첫 영국군 편제였다. 상륙을 위해 제3영국사단은 임시 집단 방식으로 조직되어, DD 전차를 보유한 제27기갑여단, 셔먼 크랩 전차를 보유한 제22기마대, 제1특전여단, 제41왕립해병특공대, 크롬웰 전차를 보유한 왕립해병기갑지원군 등과 연합 작전을 펼쳤다.[15][16]

제3사단의 포병 전력은 자주포 M7 프라이스트를 보유한 야전 여단[9][10][11][12]과 M10 구축전차를 보유한 대전차여단[13][14]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들은 상륙정에서 해변으로 포를 발사하며 상륙을 지원했다. 제8여단이 선두로 상륙했고, 제185여단과 제9여단이 그 뒤를 따랐다.[4]

1944년 네덜란드에서의 임무를 수행 중인 제3사단의 1대대


노르망디 상륙 이후, 제3보병사단은 찬우드 작전과 굿우드 작전 등 캉 전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후 네덜란드, 벨기에를 거쳐 서구 연합군의 독일 침공에도 참전했다.[17]

노르망디 전역에서 제3보병사단은 두 명의 빅토리아 훈장 수훈자를 배출했다. 왕립 노어포크 여단 제1대대의 시드니 베이츠와 제185보병여단의 제2대대인 제임스 스토크스가 그 주인공이다.[18]

2. 1. 3. 서부 전선 (1944년~1945년)



제3영국보병사단은 1944년 6월 6일, 오버로드 작전의 일부인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소드 해변에 상륙한 첫 영국군 편제였다.[5] 상륙 공격을 위해 제3영국사단은 임시 집단 방식으로 조직되어 다른 부대와 만났을 시 일시적으로 그 부대의 지휘 아래로 들어갔다.
임시 집단 방식에 참여한 부대

  • DD 전차 상륙 전차를 보유한 제27기갑여단
  • 셔먼 크랩 전차를 보유한 제22기마대
  • 제1특전여단
  • 제41왕립해병특공대
  • 크롬웰 전차를 보유한 왕립해병기갑지원군
  • 제77공격편대 및 제79공격편대
  • 왕립 공병
  • 왕립 포병 부대원


사단이 보유한 포는 모두 자주포 M7 프라이스트를 보유한 야전 여단[9][10][11][12] 또는 M10 구축전차를 보유한 대전차여단[13][14]과 SP 야전포 및 RM 센타우르 밖에 없었지만, 해변으로의 돌격 때 이들은 그들의 상륙정에서 해변으로 포를 발사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제3영국사단은 공병, 수송, 진격, 의료 및 차량 수리 등을 담당하는 101해변통솔지역 본부 등을 휘하에 두었다.[15][16] 제3사단의 여단들은 공격 부대로써 편성되었고 제8여단이 첫 상륙을, 제185여단과 제9여단이 그 뒤를 이어 상륙하는데 성공했다.[4]

노르망디 상륙 이후 제3보병사단은 찬우드 작전과 굿우드 작전에서 캉 전투 전역에 걸쳐 전투를 치렀다. 이들은 네덜란드, 벨기에, 그리고 1945년에는 서구 연합군의 독일 침공에도 참전했다. 노르망디 전역 때에는 1944년 6월 13일 부상을 입을 때까지 톰 레니가 지휘를 맡았으며, 이후에는 램셔 볼로 휘슬러가 1944년 6월 13일 지휘를 맡았다.[17]

노르망디 전역 기간 동안 사단은 2차 대전 당시 처음으로 빅토리아 훈장을 수여받았다.
빅토리아 훈장 수여자

  • 시드니 베이츠: 제185보병여단의 일부인 왕립 노어포크 여단 제1대대 소속으로 용기를 발휘하여 사단 최초로 훈장 수여.
  • 제임스 스토크스: 제185보병여단의 제2대대 소속.[18]

2. 2. 현대

2021년에 발표된 "퓨처 솔저" 계획에 따라 제3사단은 재편성되었다.[2] 제3사단은 예하에 2개의 장갑 여단 전투단, 1개의 심부 정찰 타격 여단 전투단, 1개의 작전 유지 여단을 두고 있다.[3]

퓨처 솔저 편성도


부대위치 및 기타 정보
사단 직할 부대
제4 군사정보 대대윌트셔, 불포드: 불포드 캠프
제7 군사정보 대대브리스톨
부대위치 및 예하 부대
제12 장갑 여단 전투단윌트셔, 불포드: 불포드 캠프
* 킹스 로열 허서즈 (윌트셔, 티드워스: 티드워스 캠프)
제20 장갑 여단 전투단윌트셔, 불포드: 불포드 캠프
* 로열 드래군 가즈 (윌트셔, 워민스터: 배틀즈버리 병영)
제1 심부 정찰 타격 여단 전투단윌트셔, 티드워스: 티드워스 캠프
* 왕실 기병 연대 (윌트셔, 불포드: 불포드 캠프)
제7 방공군웨스트 서식스, 소니 아일랜드: 베이커 병영
* 왕립 제12 포병 연대 (웨스트 서식스, 소니 아일랜드: 베이커 병영)
제25 공병군윌트셔, 불포드: 불포드 캠프
* 제21 공병 연대 (노스 요크셔, 리폰: 클라로 병영)
제101 작전 유지 여단햄프셔, 올더숏: 올더숏 주둔지
* 제10 퀸스 오운 구르카 병참 연대 (햄프셔, 올더숏: 게일 병영)
제7 통신군윌트셔, 불포드: 불포드 캠프
* 제1 통신 연대 (윌트셔, 퍼럼 다운: 스윈턴 병영)


3. 편제

제3사단은 영국 해외원정군의 일부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됭케르크 전투에서 철수한 부대 중 하나였다. 이들은 큰 손실 없이 철수에 성공했으며, 이후 버나드 로 몽고메리의 지휘를 받았다. 제3보병사단은 "몬티의 철기대" 또는 "철기대"라는 별명을 얻었다.[5]

1940년 됭케르크 전투 이후, 제3사단의 편제는 1941년까지 큰 변화가 없었다. 1941년 9월, 제7보병여단과 동부 본부가 수비기갑사단으로 변경되었고, 11월에는 영국 제37여단이 제3사단에 합류하여 제7보병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4][6] 1942년 6월에는 제33기갑여단이 합류하면서 혼합 사단으로 재편성되었으나,[7] 1943년 초 다시 보병 사단으로 돌아갔고, 제33전차여단은 제185보병여단으로 대체되었다.[4][8]

1944년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 제3영국보병사단은 소드 해변에 상륙한 첫 영국군 편제였다. 상륙을 위해 임시 집단 방식으로 편성되어 다양한 부대들과 협력했다. 노르망디 상륙 이후, 제3보병사단은 캉 전투를 비롯한 여러 전투에 참여했으며, 네덜란드, 벨기에, 그리고 1945년 서구 연합군의 독일 침공에도 참전했다.

3. 1.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편제

됭케르크 전투 이후 제3사단의 편제는 1941년 9월 제7보병여단과 동부 본부가 수비기갑사단으로 변경되고, 11월에는 영국 제37여단이 제3사단에 합류하여 제7보병여단으로 재편성될 때까지 큰 변화가 없었다.[4][6] 1942년 6월, 제3보병사단은 혼합 사단으로 재조직되어 제7보병여단 대신 제33기갑여단이 편입되었다.[7] 그러나 1943년 초, 혼합 사단 실험이 중단되면서 제3사단은 다시 보병 사단으로 돌아갔고, 제33전차여단은 제185보병여단으로 대체되었다.[4][8]

1944년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제3영국보병사단(제3캐나다사단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명칭)은 소드 해변에 상륙한 첫 영국군 편제였다. 상륙 작전을 위해 제3영국사단은 임시 집단 방식으로 편성되어 다른 부대와 연계하여 작전을 수행했다.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제3영국사단에 임시 배속된 부대:

부대설명
제27기갑여단DD 전차 상륙 전차 보유
제22기마대셔먼 크랩 전차 보유
제1특전여단
제41왕립해병특공대
왕립해병기갑지원군크롬웰 전차 보유
제77 및 제79공격편대
왕립 공병 및 왕립 포병 부대원



제3사단의 포병 전력은 자주포 M7 프라이스트를 보유한 야전 여단[9][10][11][12], M10 구축전차를 보유한 대전차여단[13][14], SP 야전포 및 RM 센타우르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상륙정에서 해변으로 포격을 가하며 상륙을 지원했다. 또한, 제3영국사단은 101해변통솔지역 본부를 통해 공병, 수송, 진격, 의료, 차량 수리 등을 담당했다.[15][16] 제3사단의 여단들은 공격 부대로 편성되어 제8여단이 선두로 상륙하고, 제185여단과 제9여단이 후속 상륙했다.[4]

3. 2. 퓨처 솔저 편제 (2021년 이후)



2021년에 발표된 "퓨처 솔저"에 기반한 재편성 후의 제3사단 편성은 다음과 같다.[2] 예하에 2개의 장갑 여단 전투단, 1개의 심부 정찰 타격 여단 전투단, 1개의 작전 유지 여단을 둔다.[3]

  • 사단 직할 부대
  • * 제4 군사정보 대대 (윌트셔, 불포드: 불포드 캠프)
  • * 제7 군사정보 대대 (브리스톨)
  • 제12 장갑 여단 전투단 (윌트셔, 불포드: 불포드 캠프)

부대주둔지
킹스 로열 허서즈윌트셔, 티드워스: 티드워스 캠프
왕립 전차 연대윌트셔, 티드워스: 티드워스 캠프
로열 웨섹스 요먼리도싯, 도체스터: 보빙턴 캠프
머시안 연대 제1 대대윌트셔, 불포드: 불포드 캠프
머시안 연대 제4 대대웨스트 미들랜즈, 울버햄프턴
로열 웰시 제1 대대윌트셔, 티드워스: 티드워스 캠프
로열 웰시 제3 대대카디프: 메인디 병영
제4 병참 연대옥스퍼드셔, 애빙던온템스: 달튼 병영
제4 장갑 근접 지원 대대윌트셔, 티드워스: 티드워스 캠프
제2 위생 연대윌트셔, 티드워스: 티드워스 캠프


  • 제20 장갑 여단 전투단 (윌트셔, 불포드: 불포드 캠프)

부대주둔지
로열 드래군 가즈윌트셔, 워민스터: 배틀즈버리 병영
퀸스 로열 허서즈윌트셔, 티드워스: 티드워스 캠프
로열 퓨질리어스 연대 제1 대대윌트셔, 티드워스: 티드워스 캠프
로열 퓨질리어스 연대 제5 대대노섬벌랜드, 애닉
더 라이플스 제5 대대윌트셔, 불포드: 불포드 캠프
더 라이플스 제7 대대런던, 켄싱턴: 이베르나 가든스 드릴 홀
프린세스 오브 웨일스 로열 연대 제1 대대아크로티리 및 데켈리아: 에피스코피 주둔지
프린세스 오브 웨일스 로열 연대 제3 대대켄트, 캔터버리
제3 장갑 근접 지원 대대윌트셔, 티드워스: 티드워스 캠프
제1 위생 연대윌트셔, 티드워스: 티드워스 캠프
제1 병참 연대옥스퍼드셔, 비스터: 비스터 병영


  • 제1 심부 정찰 타격 여단 전투단 (윌트셔, 티드워스: 티드워스 캠프)

부대주둔지
왕실 기병 연대윌트셔, 불포드: 불포드 캠프
제1 퀸스 드래군 가즈노퍽, 스완턴 몰리: 로버트슨 병영
로열 랜서스노스 요크셔, 리치몬드: 캐터릭 주둔지
로열 요먼리레스터셔, 레스터
제1 왕립 기마 포병 연대윌트셔, 듀링턴: 라크힐 주둔지
제3 왕립 기마 포병 연대노섬벌랜드, 스탬퍼덤; 앨버말 병영
왕립 제5 포병 연대노스 요크셔, 리치몬드: 캐터릭 주둔지
왕립 제19 포병 연대윌트셔, 듀링턴: 라크힐 주둔지
왕립 제26 포병 연대윌트셔, 듀링턴: 라크힐 주둔지
왕립 제101 포병 연대타인 앤드 위어, 게이츠헤드
왕립 제104 포병 연대웨일스, 뉴포트: 래글런 병영
제6 장갑 근접 지원 대대윌트셔, 티드워스: 티드워스 캠프


  • 제7 방공군 (West Sussex영어, 소니 아일랜드: 베이커 병영)

부대주둔지
왕립 제12 포병 연대West Sussex영어, 소니 아일랜드: 베이커 병영
왕립 제16 포병 연대West Sussex영어, 소니 아일랜드: 베이커 병영
왕립 제106 포병 연대런던, 루이셤


  • 제25 공병군 (윌트셔, 불포드: 불포드 캠프)

부대주둔지
제21 공병 연대노스 요크셔, 리폰: 클라로 병영
제22 공병 연대윌트셔, 퍼럼 다운: 스윈턴 병영
제26 공병 연대윌트셔, 퍼럼 다운: 스윈턴 병영
로열 몬머스셔 로열 공병 연대몬머스셔, 몬머스: 몬머스 성


  • 제101 작전 유지 여단 (햄프셔, 올더숏: 올더숏 주둔지)

부대주둔지
제10 퀸스 오운 구르카 병참 연대햄프셔, 올더숏: 게일 병영
제27 병참 연대햄프셔, 올더숏: 올더숏 주둔지
제151 병참 연대런던, 크로이든
제156 병참 연대머지사이드, 리버풀
제157 병참 연대카디프: 메인디 병영
제5 부대 지원 대대윌트셔, 리네햄: 리네햄 국방부 시설
제103 부대 지원 대대노샘프턴셔, 노샘프턴


  • 제7 통신군 (윌트셔, 불포드: 불포드 캠프)

부대주둔지
제1 통신 연대윌트셔, 퍼럼 다운: 스윈턴 병영
제3 통신 연대윌트셔, 불포드: 불포드 캠프
제15 통신 연대윌트셔, 퍼럼 다운: 스윈턴 병영
제71 요먼리 통신 연대런던, 벡슬리


4. 지휘관

됭케르크 전투에서 철수한 제3사단은 비교적 큰 손실을 입지 않은 부대 중 하나였다. 이후 버나드 로 몽고메리가 사단을 지휘했으며, 그는 훗날 제21군집단의 사령관이 되었다.[5] 1944년 6월 13일, 노르망디 전역에서 톰 레니가 부상을 입자 램셔 볼로 휘슬러가 지휘를 맡았다.[17]

참조

[1] 웹사이트 1st (UK) Division https://www.army.mod[...] 영국国防省 2022-06-27
[2] 웹사이트 Future Soldier Guide https://www.army.mod[...] British Army 2023-06-23
[3] 웹사이트 3RD (UNITED KINGDOM) DIVISION https://www.army.mod[...] イギリス陸軍 2023-10-14
[4] 문서 Delaforce
[5] 문서 Joslen, pp. 43–4
[6] 문서 Joslen, p. 286
[7] 문서 Joslen, p. 206
[8] 문서 Joslen, pp. 30, 360
[9] 웹인용 RA 1939–45 76 Fld Rgt http://www.ra39-45.p[...] Ra39-45.pwp.blueyonder.co.uk 2013-01-19
[10] 문서 Ellis, p. 542
[11] 웹인용 RA 1939–45 7 Fld Rgt http://www.ra39-45.p[...] Ra39-45.pwp.blueyonder.co.uk 2013-01-19
[12] 웹인용 RA 1939–45 33 Fld Rgt http://www.ra39-45.p[...] Ra39-45.pwp.blueyonder.co.uk 2013-01-19
[13] 문서 Ellis, p. 546
[14] 웹인용 RA 1939–45 20 A/Tk Rgt http://www.ra39-45.p[...] Ra39-45.pwp.blueyonder.co.uk 2013-01-19
[15] 문서 Ellis, pp. 173, 184–6
[16] 문서 Joslen, pp. 584–5
[17] 문서 Delaforce, p. .
[18] 웹인용 James Stokes http://www.cwgc.org/[...] Commonwealth War Graves Commission 2014-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